무더운 여름, 시원한 바람을 기대하며 삼성 에어컨 리모컨을 눌렀는데… 액정에 뜬 ‘연결 중’ 메시지만 껌뻑이며 아무 반응이 없으신가요? 당장이라도 서비스센터에 전화하고 싶지만, 출장비 걱정과 기다림에 막막한 마음이 앞설 겁니다. 이런 답답한 상황, 비싼 수리비 들이지 않고 단 5분 만에 해결할 수 있는 비법이 있습니다. 이 글 하나로 골치 아픈 삼성 에어컨 리모컨 고장 문제를 100% 해결하고 시원한 여름을 되찾아 보세요.
삼성 에어컨 리모컨 ‘연결 중’ 문제, 핵심 해결법 3가지
- 가장 기본! 건전지 교체: 단순 방전이 아닐 수 있습니다. 내부 회로의 완전한 리셋을 위해 새 AAA 건전지로 교체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 리모컨 강제 리셋(초기화): 특정 버튼 조합으로 리모컨의 꼬인 설정을 공장 초기 상태로 되돌려 통신 오류를 해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 연결 재설정: ‘연결 중’ 메시지의 주원인인 스마트폰 앱과의 페어링 오류를 해결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에어컨을 AP모드로 설정하고 앱에서 기기를 삭제 후 재등록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본 점검 리스트
복잡한 방법을 시도하기 전에, 아주 간단한 확인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셀프 수리의 첫 단계는 바로 기본 점검입니다.
혹시 건전지 문제 아닐까요
가장 흔한 원인은 바로 배터리 방전입니다. “어제까지 잘 됐는데?” 싶어도 리모컨 액정에 불이 들어오는 것과 별개로, 신호를 보낼 출력이 부족하면 버튼 먹통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 건전지를 잠시 뺐다가 다시 끼우는 것은 임시방편일 뿐, 반드시 새로운 AAA 건전지로 교체해 주세요. 이 과정만으로도 내부 회로에 남아있던 잔류 전기가 방전되어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리모컨 신호, 스마트폰으로 10초 만에 자가 진단
건전지를 교체해도 반응이 없다면, 리모컨이 정상적으로 신호를 보내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자가 진단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켠 다음, 리모컨 상단의 검은색 적외선(IR) LED 램프를 카메라 렌즈 쪽으로 향하게 하세요. 그리고 리모컨의 아무 버튼이나 눌러보세요. 카메라 화면에 LED 램프가 하얗거나 보라색으로 깜빡이는 불빛이 보인다면 리모컨의 송신부는 정상입니다. 만약 아무런 불빛이 보이지 않는다면 리모컨 자체의 내부 회로 문제나 파손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연결 중’ 오류 해결을 위한 리모컨 리셋 총정리
기본 점검 후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이제 리모컨 설정을 초기화하여 통신 오류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모델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니, 사용 중인 에어컨에 맞는 방법을 적용해 보세요.
가장 간단한 스마트 리셋 방법
스마트 리셋은 에어컨과 리모컨의 일시적인 통신 오류나 설정 충돌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에어컨 본체의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하며, 리셋 후에는 기존에 설정했던 예약 기능 등이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버튼 조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무풍에어컨 모델: ‘무풍’ 버튼과 ‘모드’ 버튼을 동시에 5초 이상 길게 누릅니다.
- 일반 모델: ‘확인’ 버튼과 ‘바람내림(▽)’ 버튼을 동시에 5초 이상 길게 누릅니다.
모델별 리모컨 강제 리셋(초기화) 버튼 조합
스마트 리셋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모델별로 다른 강제 리셋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대표적인 삼성 에어컨 모델별 리셋 방법입니다.
에어컨 종류/연식 | 리모컨 리셋 방법 |
---|---|
무풍갤러리, 무풍클래식 등 신형 | 에어컨 전원을 끈 상태에서 ‘무풍’ + ‘청정’ 버튼을 동시에 5초간 눌러 스마트리셋 진행. |
2018년형 (음성인식) | ‘무풍’ 버튼 + ‘모드’ 버튼을 동시에 5초 이상 누르기. |
2018년형 (일반) | ‘무풍’ 버튼 + ‘제습’ 버튼을 동시에 5초 이상 누르기. |
2014~2017년형 | ‘확인’ 버튼 + ‘무풍’ 또는 ‘바람세기’ 버튼을 5초 이상 누르기. |
스마트싱스(SmartThings) 연동 오류 완벽 해결 가이드
‘연결 중’ 메시지가 사라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의 SmartThings 앱과의 연동 문제입니다. 와이파이(Wi-Fi) 정보가 바뀌었거나, 앱 내부에서 통신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럴 때는 연결을 완전히 초기화하고 기기를 재등록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해결 방법입니다.
에어컨 AP모드로 진입하기
AP모드(Access Point)는 에어컨을 와이파이 공유기처럼 만들어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하기 위한 준비 단계입니다. AP모드로 진입해야 SmartThings 앱이 에어컨을 인식하고 새로운 연결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에어컨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리모컨의 ‘무풍’ 버튼을 에어컨 본체를 향해 5초간 길게 누릅니다.
- 에어컨 디스플레이에 ‘AP’라는 글자가 깜빡이면 버튼에서 손을 뗍니다.
- 만약 2018년 이전 모델이라면 ‘예약설정’ 또는 ‘예약쾌면’ 버튼을 4초 이상 눌러야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싱스 앱에서 기기 삭제 후 재등록
AP모드로 진입했다면 이제 스마트폰에서 기존 연결을 삭제하고 새로 등록할 차례입니다.
- 스마트폰에서 SmartThings 앱을 실행합니다.
- 홈 화면에서 등록된 에어컨 기기를 길게 눌러 ‘편집’ 메뉴로 들어간 후, ‘디바이스 삭제’를 선택합니다.
- 홈 화면 우측 상단의 ‘+’ 버튼을 눌러 ‘디바이스 추가’를 선택합니다.
- 주변 기기를 검색하거나, 에어컨 옆면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제품을 찾습니다.
- 화면의 안내에 따라 에어컨을 와이파이(Wi-Fi)에 연결하고 블루투스 페어링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AP모드로 설정된 에어컨이 자동으로 인식됩니다.
- ‘연결 완료’ 메시지가 뜨면 모든 과정이 끝납니다. 이제 리모컨의 ‘연결 중’ 메시지가 사라지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해결이 안 된다면 알아볼 점들
위의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차단기나 전원 코드는 괜찮나요
의외로 간단한 곳에 원인이 있기도 합니다. 에어컨에 연결된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지는 않은지, 전원 코드가 헐겁게 꽂혀있지는 않은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세요. 강제 운전 버튼을 통해 에어컨 본체가 직접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최후의 보루,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AS 접수
만약 리모컨을 떨어뜨리는 등 외부 충격이나 침수가 있었거나, 위의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내부 회로 고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 때는 무리한 분해나 셀프 수리를 시도하기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1588-3366)를 통해 출장 서비스 AS 접수가 가능하며, 상담을 통해 예상 수리비와 예약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대체 리모컨이나 통합 리모컨을 구매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