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와이퍼를 올리려다 당황한 적 없으신가요? 세차나 와이퍼 교체를 위해 무심코 와이퍼를 들어 올리려 했지만, 후드(프렁크) 아래에 걸려 올라가지 않는 경험, 많은 테슬라 오너들이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겁니다. 억지로 들어 올리다가는 와이퍼 암이나 후드에 흠집이 생길까 걱정되셨죠? 사실 이 문제는 아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바로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왜 테슬라 와이퍼를 올릴 때 서비스 모드가 반드시 필요한지, 그 진짜 이유 3가지를 속 시원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테슬라 와이퍼 서비스 모드가 필수인 이유 요약
- 와이퍼가 후드 아래에 숨겨져 있어 물리적으로 들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와이퍼 교체, 세척 등 일상적인 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자동 세차 시 와이퍼가 멋대로 움직이거나 세차 브러시에 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셀프 세차 시 앞유리를 구석구석 깨끗하게 닦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 겨울철 와이퍼가 앞유리에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고, 폭설 시 눈의 무게로 인한 와이퍼 암 손상을 예방하여 안전한 겨울 운전을 돕습니다.
셀프 정비의 시작, 와이퍼 교체와 관리
테슬라의 매끈한 디자인의 비밀 중 하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와이퍼 암이 후드 아래로 들어가 있는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일반 내연기관 차량처럼 손으로 와이퍼를 들어 올리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직접 교체하거나 앞유리 유막 제거, 발수코팅과 같은 작업을 하려면 반드시 ‘와이퍼 서비스 모드(또는 정비 모드)’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와이퍼 서비스 모드, 어떻게 켜나요?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 아주 간단하게 와이퍼를 세울 수 있습니다.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아래의 순서대로 따라 해 보세요.
- ‘컨트롤'(차량 아이콘)을 터치합니다.
- ‘정비’ 메뉴로 들어갑니다.
- ‘와이퍼 정비 모드’를 활성화(ON)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와이퍼가 앞유리 중앙으로 이동하며 손으로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각도로 고정됩니다. 이제 와이퍼 교체 방법만 알면 누구나 쉽게 셀프 정비가 가능합니다. 와이퍼 교체 주기는 보통 1년에 한 번을 권장하지만, 와이퍼 소음(드드득, 떨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빗물이 깨끗하게 닦이지 않을 때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품 와이퍼 외에도 보쉬(Bosch)나 덴소(Denso) 같은 유명 브랜드의 사제 와이퍼(애프터마켓 제품)도 많이 사용되니, 본인의 차량 모델에 맞는 규격을 확인하고 선택하면 됩니다.
테슬라 모델별 와이퍼 사이즈
내 차에 맞는 와이퍼 사이즈를 미리 알아두면 교체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아래 표에서 모델별 와이퍼 규격을 확인해 보세요.
| 차종 (모델) | 운전석 와이퍼 사이즈 | 조수석 와이퍼 사이즈 |
|---|---|---|
| 모델 3 (모든 연식) | 26인치 (650mm) | 19인치 (480mm) |
| 모델 Y (모든 연식) | 26인치 (650mm) | 20인치 (500mm) |
| 모델 S (21년 이후) | 26인치 (650mm) | 20인치 (500mm) |
| 모델 X (21년 이후) | 26인치 (650mm) | 21인치 (533mm) |
안전한 세차를 위한 필수 준비 과정
자동 세차를 할 때나 셀프 세차를 할 때에도 와이퍼 서비스 모드는 매우 중요합니다. 테슬라의 레인센서는 매우 민감해서 세차 시 쏟아지는 물을 비로 인식하고 오토 와이퍼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만약 와이퍼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자동 세차 기계의 브러시와 부딪히면 와이퍼 암이 부러지거나 와이퍼 모터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상사를 막기 위해 세차 전에는 ‘세차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차 모드는 와이퍼 작동을 막고, 충전 포트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등 세차에 최적화된 상태를 만들어 줍니다. 더불어,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이용해 와이퍼를 세워두면 셀프 세차 시 앞유리 하단까지 꼼꼼하게 세척하고 유리 기스 없이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어 시야 확보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장마철 대비 안전 운전을 위한 기본 차량 관리 요령이기도 합니다.
혹독한 겨울철, 와이퍼 동결 방지
겨울철에는 와이퍼 관리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밤새 내린 눈이나 비가 얼어붙으면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앞유리에 그대로 동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무리하게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와이퍼 리필 고무가 찢어지거나, 심하면 와이퍼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와이퍼 서비스 모드를 활용하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주차 후 와이퍼를 서비스 모드로 세워두면 와이퍼가 유리에 닿지 않아 동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폭설이 예상될 때 와이퍼를 미리 세워두면 눈의 무게로 인해 와이퍼 암의 각도가 틀어지거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성에 제거 작업을 할 때도 와이퍼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하면 훨씬 편리하고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