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커넥트 요금, 아직도 제 돈 다 내고 쓰세요?
기아 커넥트, 비싼 월정액 요금 때문에 망설여지시나요? 스마트폰으로 원격 시동 걸고, 에어컨 미리 켜놓는 편리함은 누리고 싶은데, 매달 나가는 고정 지출이 부담스러우셨죠? 신차 구매 후 5년 무료 기간이 끝나고 유료 전환 안내 문자를 받으면 ‘이걸 계속 써야 하나?’ 고민이 깊어집니다. 남들은 다 쓰는 것 같은데 나만 해지하면 뒤처지는 기분, 하지만 꼬박꼬박 나가는 요금은 아깝고…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바로 이런 분들을 위해 기아 커넥트 요금을 절반으로 줄이고, 100% 활용하는 모든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기아 커넥트 요금 핵심 3줄 요약
- 신차 구매 시 차종에 따라 최대 5년간 무료로 제공되며, 이후 유료로 전환됩니다.
- 유료 요금제는 약정 없이 월 9,900원, 1년 약정 시 월 5,500원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 해지는 고객센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약정 기간 내 해지 시 할인반환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아 커넥트, 도대체 어떤 서비스일까?
기아 커넥트(Kia Connect)는 과거 UVO(유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던 기아자동차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입니다. 스마트폰 앱(Kia Connect 앱)이나 차량 내 내비게이션을 통해 내 차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이죠. 단순히 문을 열고 잠그는 것부터 시작해서, 추운 겨울이나 더운 여름철 원격 시동을 걸어 미리 예열, 후열을 해놓는 공조 제어 기능은 기아 커넥트의 ‘필수 기능’으로 꼽힙니다. 이 외에도 주차 위치 확인, 차량 상태 확인, 목적지 전송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스마트한 차량 관리를 돕습니다. 현대자동차의 블루링크, 제네시스의 커넥티드 서비스와 유사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주요 기능 한눈에 보기
- 원격 제어: 원격 시동 및 공조 제어, 문 열림/잠금, 주차 위치 확인, 목적지 전송
- 안전 보안: SOS 긴급출동, 에어백 전개 자동 통보, 도난 추적, 도난 경보 알림
- 차량 관리: 차량 진단, 월간 리포트, 무선 업데이트
- 길 안내: 실시간 교통 정보, 내 차 위치 공유, 최종 목적지 안내
가장 중요한 기아 커넥트 요금제 파헤치기
기아 커넥트 요금제는 크게 무료 요금제와 유료 요금제로 나뉩니다. 신차를 구매하면 차종 및 연식에 따라 1년부터 최대 5년까지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무료 기간이 끝나면 유료로 전환해야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료 요금제, 어떤 선택이 가성비 최고일까?
무료 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두 가지 유료 요금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바로 ‘기본 요금제’와 ‘1년 약정 요금제’입니다.
요금제 종류 | 월정액 (VAT 포함) | 특징 |
---|---|---|
기본 요금제 | 9,900원 | 약정 없이 자유롭게 이용 |
1년 약정 요금제 | 5,500원 | 1년 약정 시 월 요금 할인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1년 약정 요금제를 선택하면 기본 요금제보다 매월 4,400원, 1년이면 총 52,800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1년 약정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고 가성비 높은 선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아 커넥트 가입부터 해지까지 A to Z
기아 커넥트의 가입과 해지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어떻게 진행되는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가입 방법, 어렵지 않아요!
기아 커넥트 가입은 신차와 중고차 모두 가능하며, 여러 경로를 통해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 신차 구매 시: 차량 출고 시 대부분 자동으로 가입 절차가 진행되며, 5년의 무료 기간이 제공됩니다.
- 스마트폰 앱(Kia Connect 앱) 이용: 앱을 다운로드하고 회원가입 후 차량 정보를 등록하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차량 내 내비게이션 이용: 내비게이션 화면의 ‘Kia Connect’ 메뉴를 통해 안내에 따라 가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고객센터(1899-2121) 이용: 중고차를 구매했거나 앱 사용이 어려운 경우, 고객센터를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해지,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
서비스 해지는 반드시 기아 커넥트 고객센터(1899-2121)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차량을 판매하거나 폐차하더라도 자동으로 해지되지 않으니, 소유권이 이전되면 꼭 해지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가장 궁금한 위약금 (할인반환금) 정보
1년 약정 요금제를 이용하다가 중간에 해지할 경우, 약정 기간 동안 할인받은 금액의 일부를 위약금(할인반환금)으로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약정 후 이용 기간 | 할인반환금 |
---|---|
3개월 이하 | 누적 할인액의 100% |
4개월 이상 9개월 이하 | 누적 할인액의 50% |
10개월 이상 | 면제 |
예를 들어, 1년 약정 후 6개월 사용하고 해지한다면, 6개월 동안 할인받은 총금액의 50%를 위약금으로 내야 합니다. 하지만 약정 없이 기본 요금제를 사용했다면 해지 시 별도의 위약금은 발생하지 않고, 사용한 일수만큼만 요금이 계산됩니다.
서비스 일시정지도 가능할까?
장기 해외 체류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서비스를 잠시 멈추고 싶을 때 ‘일시정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회에 최대 90일까지, 1년에 총 2회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무료 이용 기간 중에 일시정지를 하더라도 무료 기간이 연장되지는 않으며, 유료 이용 중 일시정지를 하더라도 월 3,850원의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